Infra


What's Different? 진행중인 프로젝트에 선배포를 진행하기로 하였다.작업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싶었기에 개발보다 인프라를 먼저 구축하기로 결정했다. 제일 먼저, DNS 주소를 싸게 구입했고(가비아에서 구입. AWS Route 53에서 구입할 수도 있다) , 이후 HTTPS를 적용하여야 했다.왜냐하면 실제로 웹을 오픈해서 계속 운영해나갈 계획이기에 HTTPS를 사용하여 신뢰성이 보장되고, 데이터 전달간에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이전에 진행한 팀프로젝트에서는 AWS Route 53, AWS Certificate Manager을 통해 HTTPS 설정을 진행했었다. 그때는 굉장히 AWS에 의존적인 개발이었다. EC2는 물론이고 CloudFront, RDS, Lambda, S3 등 다양한 설..


도커 : 컨테이너 기반의 오픈소스 가상화 플랫폼 도커를 사용하면 OS 환경 설정, 언어, 라이브러리, 시스템 도구 등이 설치된 환경을 그대로 이미지로 빌드할 수 있다.개발 환경에서 만들어진 이미지를 프로덕션 서버에 전달하고, 이미지를 기반으로 컨테이너를 생성하고 실행하면 된다. 표준성 : 다양한 언어와 프레임워크를 사용한 서비스들은 제각기 다른 배포 방법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를 도커를 통해 패키징하여 컨테이너를 만든다면, 어떤 언어, 프레임워크, 런타임을 사용하던 관계없이 모두 동일한 배포 프로세스를 갖게 된다. 확장성, 이식성 : 도커가 설치된 환경이라면 어디서든 컨테이너를 실행 가능하다. 이를 통해 프로덕션 서버는 물론 개발 및 테스트 서버 구축과 운영도 매우 쉬워진다. 컨테이너의 설정은 보통 ..